본문 바로가기
경제 금융 한스푼

하루 한장 - 시사 경제 금융 주식 용어 공부

by close eye 2023. 6. 5.
728x90
반응형

경제 초보의 하루 한 장 시사 경제 금융 주식 용어 공부 한걸음

하루한장

국민부담률(Total tax revenue as percentage of GDP) : 국민이 낸 세금(국세+지방세)과 국민연금, 산재보험, 건강보험 등 사회 보장성 기금을 합한 금액이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조세부담률과 사회보장부담률을 합한 것이다.

 

클러스터(Cluster) : 특정 지역에 상호 연관 관계가 높은 다수 기업과 기관이 모여 있는 산업 단지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연구 개발 기능을 담당하는 대학과 연구소, 생산 기능을 담당하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각종 지원 기능을 담당하는 금융기관과 컨설팅같이 수평적·수직적인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경쟁하고 협력하는 등 특정 산업 분야가 집적된 일정한 지역이다. 클러스터 내 기업은 상호작용을 통해 사업을 진행하고, 기술 개발과 부품 조달, 인력과 정보 교류 등에서 개별 기업의 단순 합계를 넘는 시너지와 외부 효과를 발휘한다. 최근 삼성전자가 용인의 한 지역에 300조 원을 들여 최첨단 파운드리 공장 5개를 짓기로 한 것도 기흥, 이천, 평택, 화성 등 주변 지역과의 클러스터를 통해 산업 경쟁력을 높이려는 의도다.

 

3.5% : 한국은행의 현행 기준금리다. 한국은행은 지난달 연 3.5%인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2021년 8월 금리 인상을 시작한 이후 첫 2회 연속(올해 2월, 4월) 금리 동결이다. 경기가 둔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기준금리 동결에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한편,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지난 3일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올렸다. 미국 기준금리는 연 4.75 ~ 5.0%에서 연 5.0 ~ 5.25%로 연 3.5%인 한국 기준금리보다 1.50 ~ 1.75% 포인트 높다. 한국은 이에 따른 경기 변동성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은행의 다음 통화정책 방향 결정 회의는 5월 25일로, 한국은행의 행보가 주목된다.

 

BSI, CSI, ESI :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기업 활동의 실적과 계획, 경기 동향 등에 대한 기업가들의 의견을 조사하고 지수화해 전반적인 경기 동향을 파악하는 지표다. BSI를 통해 기업가의 주관적이고 심리적인 요소까지 조사할 수 있다. 소비자동향지수(CSI)란 소비자의 경기나 생활 형편 등에 대한 주관적 판단과 전망, 미래의 소비 지출계획 등을 설문 조사해 지수화한 것이다. 경제심리지수(ESI)는 민간 부문이 경제 상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종합적으로 파악하는 지표다. BSI, CSI, ESI 모두 기준점은 '100'이며, 100보다 높으면 경기 상황을 긍정적으로, 낮으면 부정적으로 보고 있다.

728x90

유니콘(Unicorn)과 데카콘(Decacorn) : 유니콘은 원래 머리에 뿔이 하나 달린 신화 속 동물을 일컫는데, 경제 분야에서는 신생 기업 중 기업 가치가 10억 달러(약 1조 원)를 넘는 비상장 기업이다. 유니콘보다 10배 이상 가치(약 10조 원)가 높은 비상장 기업은 데카콘이라고 한다.

 

레드백(Redback) : 미국 달러화를 뜻하는 그린백(Green Back)에 빗대어 중국의 위안화를 일컫는 용어다.

 

테킬라 효과(Tequila Effect) : 멕시코의 국민 술로 알려진 테킬라로 만든 경제 용어다. 독한 술에 이웃나라들이 모두 취한 것처럼 경제 위기가 주변으로 파급되는 상황일 때 사용한다. 1994년 12월에 발생한 멕시코의 금융위기가 아르헨티나와 브라질 등 중남미국가에 영향을 준 것에서 유래했다.

 

이스털린의 역설(Easterlin's Paradox) : 소득이 비례적으로 증가해도 행복이 그와 같은 비율로 증가하지 않는다는 이론이다. 미국 경제사학자 리처드 이스털린이 1974년 주장한 개념이다. 그는 1946년부터 빈곤국과 부유한 국가, 사회주의와 자본주의 국가 등 30개 국가의 행복도를 연구했는데, 소득이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행복도와 소득이 비례하지 않는다는 현상을 발견했다. 하지만 최근에는 더 많은 국가를 포함시켜 연구가 축적된 결과 국민소득이 늘어날수록 복지 수준과 행복감이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는 게 대다수 견해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