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그린수소2

환경부 한국수자원공사 수전해 기반 그린수소 생산시설 준공 환경부와 한국수자원공사는 9월 14일 성남광역정수장(성남시 수정구 소재)에서 정수장의 소수력 발전을 이용해 친환경 수소를 만드는 '수전해 기반 그린수소 생산시설' 준공식을 열고 이어서 '생산시설 연계 수소차 충전 기반시설 구축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수력발전 시설 규모가 5MW 초과할 경우 대수력으로, 5MW 이하면 소수력으로 분류한다. 수소는 생산 방식에 따라 크게 ▲그린수소, ▲그레이수소, ▲블루수소로 나뉜다. 그린수소는 수력 등 재생에너지 전력을 이용해 순수한 물을 전기분해(수전해)하여 생산한 수소로, 온실가스가 배출되지 않으나 생산비용이 높은 편이다. 그레이수소는 생산과정에서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며, 천연가스를 고온·고압에서 분해해 얻는 개질(추출) 수소와 석유·화학공정이나 철강 생산 시 부산물로 .. 2023. 10. 21.
SK에코플랜트 2025년 그린수소 상용화 글로벌 프로젝트 뉴지오호닉 참여 SK에코플랜트가 캐나다 월드에너지GH2가 추진 중인 총 45억 달러(약 6조 원) 규모의 그린수소 상용화 프로젝트에 참여한다. 환경·에너지기업 SK에코플랜트가 그린수소 밸류체인을 앞세워 글로벌 대륙 간 초대형 그린수소 상용화 프로젝트에 핵심 플레이어로 참여한다. SK에코플랜트는 17일 캐나다 월드에너지 GH2와 45억 달러(USD, 한화 약 6조 원) 규모 '뉴지오호닉(Nujio'qonik) 그린수소 1단계 프로젝트' 참여를 위한 투자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월드에너지 GH2는 캐나다 뉴펀들랜드 래브라도의 스티븐빌 지역에 기반을 둔 대규모 그린 수소 프로젝트를 개발하고 있다. 특히 이번 협약은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수년 전부터 각 멤버사별로 비즈니스 모델(BM)의 근본적인 혁신을 주문한 데 맞춰 S.. 2023. 5. 1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