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영업이익13

기아, 2024년 1분기 경영실적 발표 기아(주)는 26일 컨퍼런스콜로 기업설명회(IR)를 열고 2024년 1분기 경영실적을 발표했다. 기아는 2024년 1분기 76만 515대(전년 대비 1% ↓)를 판매했으며(도매 기준), 이에 따른 경영실적은 ▲매출액 26조 2,129억 원(10.6% ↑) ▲영업이익 3조 4,257억 원(19.2% ↑) ▲경상이익 3조 7,845억 원(20.4% ↑) ▲당기순이익(비지배 지분 포함) 2조 8,091억 원(32.5% ↑)을 기록했다고 밝혔다.(IFRS 연결기준) 기아 관계자는 1분기 실적과 관련해 "글로벌 산업수요가 EV 수요 성장률 둔화로 제한적인 회복세를 보인 가운데, 기아 판매는 전기차 판매 약화, 내연기관 및 하이브리드 차종들의 일시적 공급 부족으로 전년 대비 소폭 감소했다"라고 설명했다. 다만 "판.. 2024. 4. 28.
현대자동차 2024년 1분기 경영실적 발표 현대자동차(주)가 25일(목) 경영실적 컨퍼런스콜을 실시하고, 2024년 1분기 실적이 ▲도매 판매 100만 6,767대, IFRS 연결 기준 ▲매출액 40조 6,585억 원(자동차 31조 7,180억 원, 금융 및 기타 8조 9,405억 원) ▲영업이익 3조 5,574억 원 ▲경상이익 4조 7,272억 원 ▲당기순이익 3조 3,760억 원(비지배지분 포함)이라고 발표했다. 현대자동차의 2024년 1분기 판매는 신차출시 준비를 위한 아산공장 생산 라인의 일시적인 셧다운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으나, 북미, 인도 등 주요 지역에서 견조한 판매 성장세를 이어갔다. 영업이익은 판매대수 감소 영향으로 전년 동기보다 소폭 감소했다. 현대자동차는 관계자는 이번 실적을 대해 "고금리 지속과 중동발 지정학적 리.. 2024. 4. 27.
네이버 2023년 4분기 매출액 및 영업이익 네이버는 2023년 4분기에 매출액 2조 5,370억 원, 영업이익 4,055억 원, 조정 EBITDA 5,800억 원을 각각 기록했다고 밝혔다. 4분기 연결 매출액은 주요 사업부문의 성장에 힘입어 전년동기 대비 11.7%, 전분기 대비 3.8% 성장한 2조 5,370억 원을 기록했다. 4분기 조정 EBITDA는 특히 웹툰의 흑자 전환과 Poshmark(포시마크)의 이익 확대로 전년동기 대비 19.2%, 전분기 대비 5.3% 증가하여 역대 최고인 5,800억 원을 기록했다. 4분기 연결 영업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20.5%, 전분기 대비 6.7% 성장한 4,055억 원을 기록하며, 영업이익률이 전분기 대비 상승한 16%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2023년 연간 매출액은 전년 대비 17.6% 증가한 9조 6.. 2024. 4. 20.
삼성전기 2023년 4분기 경영실적 발표 삼성전기는 지난 4분기에 연결기준으로 매출 2조 3,062억 원, 영업이익 1,104억 원을 기록했다고 31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 3,378억원(17%), 영업이익은 92억 원(9%) 증가했다. 전분기 대비 매출은 547억 원(2%), 영업이익 736억 원(40%) 감소했다. 삼성전기는 스마트폰 신제품 출시 등의 효과로 스마트폰용 MLCC 및 폴디드 줌 등 고성능 카메라모듈 공급을 확대해 전년 동기보다 매출 및 영업이익이 증가했지만, 연말 재고조정 등 계절적 비수기 영향으로 전 분기 대비 실적은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올해는 스마트폰, PC 등 주요 제품의 수요 개선과 하이브리드 및 내연기관 차량의 전장화 확대가 전망된다. 삼성전기는 IT용 고부가 MLCC 및 패키지 기판 경쟁력을 강화해 공급을.. 2024. 2. 7.
LG에너지솔루션 2023년 연간 실적발표 LG에너지솔루션이 지난해 한 해 동안 매출 33조 7455억 원, 영업이익 2조 1632억 원을 달성했다. 전년 대비 매출(25조 5986억 원)은 31.8%, 영업이익(1조 2137억 원)은 78.2% 증가한 수치다. LG에너지솔루션 CFO(최고재무책임자) 이창실 부사장은 26일 실적설명회에서 "매출은 견조한 성장세를 보인 북미 지역 수요에 적극 대응하면서 2년 연속 30% 이상 고성장을 이어갔으며, 영업이익 또한 물류비 절감, 수율 및 생산성 향상 등 원가개선 노력과 IRA Tax Credit 수혜를 통해 전년 대비 78% 상승했다"라고 밝혔다. 지난해는 LG에너지솔루션이 미래에 가장 가파른 성장세가 예상되는 북미 지역 사업을 본격화했던 한 해였다. 이 부사장은 "GM JV 1 공장의 안정적 양산 전.. 2024. 1. 31.
SK하이닉스 2023년 실적 발표 4분기 흑자전환 메모리 반도체 업황 반등이 본격화된 가운데 SK하이닉스가 지난해 4분기 3460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이로써 회사는 2022년 4분기부터 이어져 온 영업적자에서 1년만에 벗어났다. SK하이닉스는 25일 실적발표회를 열고, 지난해 4분기 매출 11조 3055억 원, 영업이익 3460억 원(영업이익률 3%), 순손실 1조 3795억 원(순손실률 12%)의 경영실적을 기록했다고 밝혔다.(K-IFRS기준) SK하이닉스는 "지난해 4분기 AI 서버와 모바일향 제품 수요가 늘고, 평균판매단가(ASP, Average Selling Price)가 상승하는 등 메모리 시장 환경이 개선됐다."며, "이와 함께 그동안 지속해 온 수익성 중심 경영활동이 효과를 내면서 당사는 1년 만에 영업흑자를 .. 2024. 1. 30.
LG전자 2023년 잠정실적 발표, 3년 연속 최대 매출액 경신 LG전자가 3년 연속 최대 매출액을 경신했다. 2023년 연결기준 누적 매출액은 84조 2,804억 원, 영업이익은 3조 5,485억 원을 기록했다. 경기둔화로 인해 수요회복이 지연되고 시장 내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에도 과거 펜트업(Pent-up) 수요 당시에 버금가는 경영실적을 달성했다. 연간 매출액은 주력사업의 견고한 펀더멘털을 유지한 가운데, B2B(기업간거래) 사업 성장이 더해지며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지난 3년간 LG전자 매출액 연평균성장률(CAGR)은 13% 이상이다. 연간 영업이익 또한 직전 년도 수준의 견조한 성과를 기록했다. 특히 이러한 경영실적은 지난해 어려운 외부환경이 지속돼 온 가운데, 동종 업계 중에서도 도드라지는 것이라 의미가 크다. 수요감소에 대응해 시장 변곡점을 조기에 .. 2024. 1. 12.
삼성SDI 3분기 기준 역대 최대 매출 2023년 3분기 실적 발표 삼성SDI가 2023년 3분기 매출 5조 9,481억 원, 영업이익 4,960억 원을 기록했다고 10월 26일 발표했다. 자동차 전지 판매 호조로 매출이 증가하여 3분기 기준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특히 자동차용 각형 및 원형 전지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60% 이상 증가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5,801억 원(10.8%)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699억 원(△12.3%) 감소했다. 전분기 대비 매출은 1,075억 원(1.8%), 영업이익은 458억 원(10.2%) 각각 증가했다. 영업이익률을 8.3%를 기록했다. 2023년 3분기 사업부별 실적 전지 부문의 매출은 5조 3,38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061억 원(10.5%), 전분기 대비 697억 원(1.3%)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4,1.. 2023. 11. 7.
삼성전자 2023년 3분기 실적 발표 및 4분기, 2024년 전망 삼성전자는 연결 기준으로 매출 67.4조 원, 영업이익 2.43조 원의 2023년 3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전사 매출은 스마트폰 플래그십 신제품 출시와 디스플레이 프리미엄 제품 판매 확대로 전분기 대비 12.3% 증가한 67.4조 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의 경우 DS부문 적자가 감소한 가운데, 스마트폰 플래그십 판매가 견조하고 디스플레이 주요 고객 신제품 수요 증가로 전분기 대비 1.77조 원 증가한 2.43조 원을 기록했다. 3분기 실적 ■ DS(Device Solutions) 부문 매출 16.44조 원, 영업이익 -3.75조 원 메모리반도체는 ▲HBM(High Bandwidth Memory) ▲DDR5(Double Data Rata 5) ▲LPDDR5x 등 고부가 제품 판매 확대와 일부 판가 상승으로.. 2023. 11. 1.
현대자동차 3분기 기준 역대 최대 영업이익 2023년 3분기 실적 발표 현대자동차(주)가 26일(목) 경영실적 컨퍼런스콜을 실시하고 2023년 3분기 실적이 IFRS 연결 기준 △판매 104만 5,510대 △매출액 41조 27억 원(자동차 32조 3,118억 원, 금융 및 기타 8조 6,909억 원) △영업이익 3조 8,218억 원 △경상이익 4조 6,672억원 △당기순이익 3조 3,035억원(비지배지분 포함)이라고 발표했다. 현대자동차의 2023년 3분기 판매는 북미, 유럽, 인도 등 주요 지역의 견조한 판매 성장세를 바탕으로 전년 동기 대비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판매대수 확대, 고부가가치 차종 중심의 믹스 개선 등의 긍정적인 요인과 함께, 작년 3분기 판매보증충당금 설정 등의 기조효과로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으로 늘었다. 현대자동차 관계짜는 "주요 시장의 수요 증대로 지.. 2023. 10. 2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