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이차전지소재4

포스코그룹, 초일류 기업 도약 미래혁신 과제 발표 포스코그룹이 신뢰받는 초일류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미래혁신 과제를 발표했다.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은 '포스코미래혁신TF'를 가동해 그룹 경영 현황 전반을 면밀히 점검하고, 관련 부서의 의견 청취 및 수차례에 걸친 토론을 통해 그룹이 당면한 주요 현안의 혁신 방안을 구체화하고 이를 토대로 7대 미래혁신 과제를 확정했다. 장 회장은 19일 열린 포스코홀딩스 이사회 전략세션에서 "7대 미래혁신 과제를 통해 핵심 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경영체제 전반을 혁신해 초일류 기업 도약을 위한 전기를 마련하겠다"라고 밝혔다. 미래혁신 과제는 그룹 핵심사업인 철강, 이차전지소재의 본원 경쟁력을 강화해 글로벌 선도 소재기업의 위상을 확립하고, 유연하고 수평적인 조직문화를 구현함과 동시에 거버넌스의 혁신 등을 통해 이해관.. 2024. 4. 30.
포스코그룹 이차전지소재용 리튬생산공장 첫 준공 포스코그룹은 11월 29일 전남 율촌산업단지에 포스코필바라리튬솔루션의 수산화리튬 공장과 포스코 광양제철소 내 고효율 무방향성 전기강판(Hyper NO) 공장을 준공했다. 포스코그룹은 이번 수산화리튬 공장 준공으로 그룹 신성장 동력의 핵심인 이차전지소재사업의 주요 원료를 국내에서 첫 상업 생산하게 된다. 또한 세계 최고 기술력을 바탕으로 Hyper NO 공장을 증설해 글로벌 친환경차 소재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교두보를 마련했다. 포스코필바라리튬솔루션은 지난 2021년 포스코홀딩스와 호주 광산개발 회사인 필바라미네랄(Pilbara Minerals)사가 합작해 만든 회사다. 이 회사는 2024년까지 호주 광석리튬 기반 연산 총 4만 3000톤 규모의 이차전지소재용 수산화리튬 생산 체제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 2023. 12. 16.
포스코인터내셔널 아프리카서 이차전지 원료 흑연 공급망 구축 포스코인터내셔널은 8월 28일부터 9월 2일까지 마다가스카르, 탄자니아를 방문해 2건의 '흑연 공급망 구축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며 광물자원 확보에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었다. 흑연 확보를 위한 첫 MOU체결은 8월 28일 마다가스카르 안타나나리보에서 있었다. 이 날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캐나다계 광업회사 넥스트소스(NextSource)와 '몰로(Molo) 흑연광산의 공동 투자를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이날 협약식엔 정탁 포스코인터내셔널 부회장, 유삼 포스코인터내셔널 친환경원료소재사업실장, 크레이그 셔바 넥스트소스 대표이사, 올리비에 헤린드레이니 라코토말랄라 마다가스카르 광업전략자원부장관 등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으로 포스코인터내셔널은 몰로 광산에서 생산되는 인상흑연(연간 3만톤) 또는 구형흑연(연.. 2023. 11. 25.
포스코퓨처엠 배터리소재 포트폴리오 확대 분기 최대 매출 달성 포스코퓨처엠이 배터리소재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대해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최대 매출을 경신했다. 24일 포스코퓨처엠은 연결 기준 매출액 1조 1930억 원, 영업이익 521억 원의 2분기 경영실적을 발표했다. 배터리소재 사업의 2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8,425억 원과 375억 원으로 전분기 대비 각각 8.0%, 124.6% 증가했다. 양극재 부문 매출은 7,863억 원으로 고성능 전기차용 프리미엄급 제품인 N86 양극재의 판매비중이 늘고 특히 에너지효율과 안정성이 높은 하이니켈 단입자 양극재를 지난 4월부터 국내 최초로 양산공급해 온 것이 매출액 증가에 기여했다. 음극재 부문은 매출 562억 원으로 수요저하로 인한 판매량 감소로 전분기 대비 17.0% 감소했으나 공장 가동률 상승으로 수익성은 다소 개.. 2023. 7. 2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