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단오2

단오, 추석, 동지의 역사 등 설명 국가무형유산으로 신규 지정된 단오, 추석, 동지의 역사 등에 대하여 알아본다. 단오 단오는 음력 5월 5일로 양기가 가장 성한 날로 예로부터 중오, 천중절, 수릿날이라 불렀으며, 여름의 대표 명절이다. 단오가 우리 문헌에 처음 등장하는 것은 「삼국유사」이며, 단오에도 국가의례로 왕실제사를 지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기록을 통해 단오의 핵심 요소인 단오제, 그네뛰기, 단오 부채 관련 풍속도 확인이 가능하다. 다른 명절에 비해 단오는 단일 주제로 가장 많이 연구되었으며, 설과 대보름 관련 연구를 제외하고 명절로써 연구의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난다. 단오 관련 연구는 2000년대 강릉단오제의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 이후 폭발적으로 증가하며, 그 이외 중국의 단오 문화를 비교연구한 주.. 2023. 12. 28.
설과 대보름, 한식, 단오, 추석, 동지 신규 국가무형유산 지정 문화재청은 우리 민족의 5개 대표 명절 '설과 대보름', '한식', '단오', '추석', '동지'를 신규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한다. 무형유산 정책이 전문 기·예능을 보유한 전승자 중심에서 온 국민이 함께 전승해 온 공동체의 생활관습으로 확대됨에 따라, 지난해 한복생활, 윷놀이에 이어 가족과 지역 공동체의 생활관습으로 향유·전승되어 온 명절을 국가 무형유산으로 지정하게 되었다. 이번에 지정되는 우리 명절은 ▲음력 정월 초하루에서 보름까지로 한 해의 시작을 기념하는 '설과 대보름', ▲동지 후 105일째 되는 날이자 성묘, 벌초, 제사 등의 조상 추모 의례를 중심으로 전해 내려온 '한식', ▲음력 5월 5일로 다양한 놀이와 풍속이 전승되어 온 '단오', ▲음력 팔월 보름인 날로 강강술래부터 송편까지 다양한 .. 2023. 12. 2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