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삼성전자10

삼성전자 업계 최초로 '1Tb TLC 9세대 V낸드' 양산 시작 삼성전자가 업계 최초로 '1Tb(테라비트) TLC(Triple Level Cell) 9세대 V낸드' 양산을 시작하며 낸드플래시 시장에서의 리더십을 공고히 했다.- TLC(Triple Level Cell) : 하나의 셀에 3bit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구조 삼성전자는 ▲업계 최소 크기 셀(Cell) ▲최소 몰드(Mold) 두께를 구현해 '1Tb TLC 9세대 V낸드'의 비트 밀도(Bit Density)를 이전 세대 대비 약 1.5배 증가시켰다. - 비트 밀도(Bit density) : 단위 면적당 저장되는 비트(Bit)의 수 더미 채널 홀(Dummy Channel Hole) 제거 기술로 셀의 평면적을 줄였으며, 셀의 크기를 줄이면서 생기는 간섭 현상을 제어하기 위해 셀 간섭 회피 기술, .. 2024. 5. 1.
삼성전자 신형 피트니스 밴드 '갤럭시 핏3' 국내 출시 삼성전자가 신형 피스니스 밴드 '갤럭시 핏3(Galaxy Fit3)'를 3일 국내 출시한다. '갤럭시 핏3'는 전작 대비 약 45% 커진 40mm 디스플레이를 채용해 더 많은 정보를 한 화면에서 제공한다. 알루미늄 바디는 강화된 내구성을, 18.5g의 가벼운 무게는 보다 편안한 착용감을 선사한다. 18.5g : 기기 본체만의 무게이며, 스트랩 무게는 별도 사용자가 야외에서 보다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IP68 등급의 방수·방진도 지원한다. 특히 방수의 경우 5기압(ATM)까지 보호된다. IP68 : 최대 30분동안 최대 1.5m 수심에서 먼지와 담수로부터 보호 5ATM : 최대 10분 동안 최대 수심 50m에서 방수 가능 배터리는 1회 완충으로 최대 13일까지 사용 가능하며, 급속 충전을 지원해 30.. 2024. 4. 8.
삼성전자 세탁기, 냉장고, 에어컨 탄소발자국 인증 획득 삼성전자 세탁기·냉장고·에어컨 총 3종이 영국 '카본 트러스트(Carbon Trust)'로부터 '탄소발자국(Carbon Footprint)' 인증을 획득했다. 카본 트러스트는 탈탄소화 시대로의 전환을 위해 영국에서 설립된 비영리 인증기관으로, 제품의 소재·생산·운송·사용·재활용까지 전 생애주기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측정하고 평가해 탄소 발자국 인증을 부여한다. 이번에 제품 탄소발자국 인증을 받은 제품은 '비스포크 그랑데 AI세탁기'(WF25CB8895) 6개, '비스포크 냉장고 2도어'(R*38A7CGTS9/**) 3개, 벽걸이형 무풍에어컨(AR12CXCAAWKNEU) 1개 등 총 10개 모델이다. 이번에 측정된 값은 이후 해당 제품이나 후속 제품의 생산 시 탄소 발생량의 저감 여부를 평가하는 .. 2024. 1. 11.
내년 초 삼성페이 통한 모바일 신분증 시범서비스 예정 행정안전부는 내년 초부터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보안 영역을 활용하여, 모바일 신분증 2종(모바일 운전면허증, 국가보훈등록증)을 대상으로 새로운 융합서비스를 선보인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는 삼성전자와 함께 글로벌 스마트폰 제조사만이 개발가능한 하드웨어 기반의 강력한 보안 솔루션을 통해 모바일 신분증을 다양한 민간 앱에서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공통기반을 구축 중이다. 현재, 모바일 신분증 데이터는 하드웨어 상 보안 영역이 아닌 일반 앱 영역을 통해 제공되고 있어 데이터를 여러 앱에서 사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번에 구축하는 모바일 신분증 데이터는 삼성전자의 스마트폰에 내장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칩셋 내 보안 저장 공간(TrustZone)에 안전하게 보관되며, 모바일 신분증을 발급하고.. 2023. 11. 23.
삼성전자 KB국민카드 아멕스 IoT(사물인터넷)카드 출시 MOU체결 삼성전자가 KB국민카드, 아메리칸 익스프레스(이하 아멕스)와 9월 19일 'IoT(사물인터넷) 카드 출시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3사는 삼성 '스마트싱스 파인드(SmartThings Find)'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신용카드 위치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스마트싱스 파인드는 BLE(저전력 블루투스) 기술을 활용한 위치 확인 서비스로, 갤럭시 스마트폰과 태블릿, 웨어러블 등 다양한 종류의 삼성 기기들을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신용카드에 스마트싱스 파인드를 적용해 삼성 갤럭시 스마트폰과 연결하면 ▲국내외에서 IoT카드 위치 확인 ▲스마트폰과 IoT카드가 멀어질 경우 알림 ▲IoT카드와 연결된 스마트폰 찾기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외 여행을.. 2023. 10. 15.
삼성전자 인공지능/컴퓨터공학(AI/CE) 챌린지 2023 안내 삼성전자가 AI 기술을 활용한 차세대 반도체 연구 역량 강화를 위해 인공지능(AI)과 컴퓨터 공학(Computer Engineering, 이하 CE) 분야 국내 우수 인력을 발굴하고, 연구 생태계를 강화한다. 삼성전자 SAIT(옛 종합기술원)은 8월 21일부터 10월 20일까지 2개월 간 국내 대학 학부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삼성 AI/CE 챌린지 2023'을 개최하고, 차세대 기술 리더들의 연구를 지원한다. 올해로 3회를 맞은 '삼성 AI/CE 챌린지'는 과학기술 인재 발굴과 연구 강화를 위한 아이디어 공모전으로, 기존 인공지능(AI) 분야 외 컴퓨터공학(CE) 분야를 신설하여 총 4개의 공모 부문으로 규모를 키웠다. 참여를 희망하는 학생들은 8월 21일부터 접수 가능하며 AI 분야는 10월 2일,.. 2023. 8. 24.
삼성전자 2023년 하반기 전망 2023년 하반기는 글로벌 IT수요와 업황이 점진적으로 회복될 것으로 기대되는 가운데, 부품 사업 중심으로 상반기 대비 전사 실적 개선이 예상된다. 단, 거시경제 리스크 등으로 인한 수요 회복 관련 불확실성은 계속될 전망이다. DS부문은 DDR5, LPDDR5x, HBM3 등 고부가 제품 판매와 신규 수주를 확대할 방침이다. 또한 인프라 및 R&D, 패키징에 투자를 지속하고 GAA(Gate-All-Around) 공정 완성도 향상 등으로 중장기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DX부문은 폴더블 스마트폰, 태블릿, 웨어러블 등 주요 신제품을 성공적으로 출시하고 TV/가전 프리미엄 제품 판매를 확대해 견조한 수익성을 유지할 방침이다. DS부문 메모리는 하반기 시황과 연계된 유연한 공급 운영을 바탕으로 포트폴리오를 .. 2023. 7. 29.
삼성전자 2023년 2분기 매출 영업이익 실적발표 삼성전자는 연결 기준으로 매출 60.01조 원, 영업이익 0.67조 원의 2023년 2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전사 매출은 DS 매출 회복에도 불구하고 스마트폰 출하 감소 등으로 전분기 대비 6% 감소한 60.1조 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의 경우 스마트폰 출하 감소에 따른 부정적 영향이 있었으나, DS부문 적자폭이 축소되고 디스플레이/TV/생활가전 수익성이 개선돼 전분기 대비 소폭 증가한 0.67조 원을 기록했다. 연구개발비는 7.2조 원으로 지난 분기에 이어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고, 시설투자도 14.5조 원으로 2분기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는 등 미래 성장을 위한 투자 기조를 이어갔다. 2분기 실적 DS(Device Solutions)부문 매출 14.73조 원, 영업이익 -4.36조 원 메모리반도체는 DD.. 2023. 7. 28.
삼성전자 지문인증IC 생체인증카드 지문인증카드 작동 방식 삼성전자 지문인증 IC는 생체인증카드를 위한 올인원 보안 솔루션으로 안전하고 편리한 새로운 결제를 가능하게 한다. 비밀번호나 서명이 필요 없는 지문인증카드 지문인증카드의 소유자는 결제 시 개인식별번호(PIN)나 서명 대신 지문을 사용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본인 인증을 할 수 있다. 등록된 개인 지문을 통해 신원을 인증하므로 카드 도난이나 비밀번호 도용 우려를 낮추고 특히 여행할 때 안심하고 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카드를 도난당하거나 분실하더라도 이를 절도 또는 습득한 사람이 부정한 방법으로 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편리하고 안전한 지문인증카드의 작동 방식 카드 소지자는 카드에 디지털 지문 템플릿을 최대 3개까지 추가할 수 있고, 지문 정보는 카드에 안전하게 저장된다. 지문 등록은 카드 발행처 정책에 .. 2023. 6. 9.
삼성전자 12나노급 공정 16Gb DDR5 D램 양산 삼성전자가 업계 최선단 12나노급 공정으로 16Gb(기가 비트) DDR5 D램 양산을 시작하고, D램 미세 공정 경쟁에서 기술경쟁력을 확고히 했다. 삼성전자 12나노급 D램은 최선단 기술을 적용, 전 세대 제품 대비 생산성이 약 20% 향상됐다. (12나노급 공정은 5세대 10나노급 공정을 의미한다) 또한, 이전 세대 제품보다 소비 전력이 약 23% 개선됐다. 소비 전력 개선으로 데이터센터 등을 운영하는 데 있어, 전력 운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탄소 배출과 에너지 사용을 줄이는데 적극 동참하고 있는 글로벌 IT 기업들에게 최상의 솔루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삼성전자는 유전율(K)이 높은 신소재 적용으로 전하를 저장하는 커패시터(Capacitor)의 용량을 늘렸다. D램의 커패시터 용량이 늘어나면 데.. 2023. 5. 2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