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국가무형유산3

단오, 추석, 동지의 역사 등 설명 국가무형유산으로 신규 지정된 단오, 추석, 동지의 역사 등에 대하여 알아본다. 단오 단오는 음력 5월 5일로 양기가 가장 성한 날로 예로부터 중오, 천중절, 수릿날이라 불렀으며, 여름의 대표 명절이다. 단오가 우리 문헌에 처음 등장하는 것은 「삼국유사」이며, 단오에도 국가의례로 왕실제사를 지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기록을 통해 단오의 핵심 요소인 단오제, 그네뛰기, 단오 부채 관련 풍속도 확인이 가능하다. 다른 명절에 비해 단오는 단일 주제로 가장 많이 연구되었으며, 설과 대보름 관련 연구를 제외하고 명절로써 연구의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난다. 단오 관련 연구는 2000년대 강릉단오제의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 이후 폭발적으로 증가하며, 그 이외 중국의 단오 문화를 비교연구한 주.. 2023. 12. 28.
설과 대보름, 한식의 역사 등 설명 국가무형유산으로 신규 지정된 설과 대보름, 한식의 역사 등에 대하여 알아본다. 설과 대보름 설과 대보름은 음력 정월 초하루에서 보름까지 해당하며, 한 해의 시작을 기념하는 인류 보편적 '신년맞이 명절'이다. 설은 '원일', '원단' 등 한 해의 첫 날임을 뜻하는 여러 이칭이 있으며, 15세기 중세국어에서 '새해의 첫날, 새해의 처음'이라는 의미 외에 나이를 세는 단위로도 쓰였다. 대보름은 '상원'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중원(7월 15일), '하원(10월 15일)'과 연관해서 부르는 한자어로 「삼국유사」에서 '오기일'이라고도 불렀다. 우리 설과 대보름은 구체적으로 삼국시대부터 구체적 기록이 확인되는데, 「삼국사기」·「삼국유사」에서 국가적 세시의례였음을 알 수 있으며 대보름 찰밥의 기원 및 유래담이 확인 .. 2023. 12. 27.
설과 대보름, 한식, 단오, 추석, 동지 신규 국가무형유산 지정 문화재청은 우리 민족의 5개 대표 명절 '설과 대보름', '한식', '단오', '추석', '동지'를 신규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한다. 무형유산 정책이 전문 기·예능을 보유한 전승자 중심에서 온 국민이 함께 전승해 온 공동체의 생활관습으로 확대됨에 따라, 지난해 한복생활, 윷놀이에 이어 가족과 지역 공동체의 생활관습으로 향유·전승되어 온 명절을 국가 무형유산으로 지정하게 되었다. 이번에 지정되는 우리 명절은 ▲음력 정월 초하루에서 보름까지로 한 해의 시작을 기념하는 '설과 대보름', ▲동지 후 105일째 되는 날이자 성묘, 벌초, 제사 등의 조상 추모 의례를 중심으로 전해 내려온 '한식', ▲음력 5월 5일로 다양한 놀이와 풍속이 전승되어 온 '단오', ▲음력 팔월 보름인 날로 강강술래부터 송편까지 다양한 .. 2023. 12. 2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