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주식용어13

하루 한장 - 시사 경제 금융 주식 용어 공부 경제 초보의 하루 한 장 시사 경제 금융 주식 용어 공부 한걸음 ▶아르헨티나(Argentina) : 아르헨티나는 무분별한 정부지출로 연간 최고 140%에 이르는 인플레이션이 발생했다. 국민은 살인적인 물가로 고통에 빠졌지만, 정부는 적절한 대응 능력을 보여주지 못했다. 이에따라 지난달 아르헨티나 대통령 선거에서 하비에르 밀레이 후보가 여당 후보를 누르고 대통령에 당선됐다. 그는 중앙은행 폐쇄, 공기업 민영화, 법정 통화로 달러화를 채택하는 달러라이제이션(dollarization)등의 공약을 내세웠다. 그의 대통령 취임 이후 아르헨티나 경제 정책 행보가 주목된다. ▶블랙 프라이데이(Black Friday) : 미국에서 11월 넷째 주 목요일 추수감사절 다음날인 금요일을 일컫는 용어다. 미국 대다수 소매업체.. 2024. 5. 16.
하루 한장 - 시사 경제 금융 주식 용어 공부 경제 초보의 하루 한 장 시사 경제 금융 주식 용어 공부 한걸음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 : 경기가  침체해 수요가 감소함에도 오히려 물가가 오르는 현상이다. 경기침체를 의미하는 스태그네이션(stagnation)과 물가상승을 의미하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다. 보통 경기가 침체하면 물가가 하락하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1970년대 오일쇼크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오일쇼크로 국제 석유 가격이 상승하자 기업이 생산 비용 증가로 인해 생산과 고용을 줄이면서 경기가 침체하지만, 각종 제품 가격은 상승하는 인플레이션이 발생했다. 최근 이스라엘과 하마스 사이의 전쟁으로 국제 정세가 요동치고 있다. 만약 전쟁이 미국과 이란의 대리전으로 확대되면 국제 유가가 더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2024. 5. 15.
하루 한장 - 시사 경제 금융 주식 용어 공부 경제 초보의 하루 한 장 시사 경제 금융 주식 용어 공부 한걸음 ▶부머(Boomer)와 두머(Doomer) : 인공지능(AI) 기술 경쟁이 고도화하면서 AI에 대한 논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AI를 잘 활용하면 기술 개발과 생산성 향상 등 인류의 번영에 도움을 줄 것이라는 부머와 AI 기술 개발이 결국 인류를 종속시키고 파멸로 이끌 수 있다는 두머의 주장이 바로 그것이다. 두머는 AI가 가져올 위험성을 경고하면서 규제가 필요하다는 입장으로, 유럽연합(EU)이 세계 최초로 AI 기술 규제 법안에 합의한 것이 대표적 사례다. 지난해 말 챗GPT의 창업자 샘 올트먼이 이사회에 이해 해임되었다 복귀한 것도 AI 개발에 따른 부머와 두머 간 갈등 때문이기도 하다.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 가상공간.. 2024. 5. 14.
하루 한장 - 시사 경제 금융 주식 용어 공부 경제 초보의 하루 한 장 시사 경제 금융 주식 용어 공부 한걸음▶점도표(Dot Plot) : 미국 중앙은행(Fed)은 3·6·9·12월 통화정책과 관련한 정례회의 이후 Fed 위원들의 향후 금리 전망이 담긴 점도표를 공개한다. 3개월마다 변하는 점도표를 통해 향후 미국 통화정책의 방향성에 대한 신호를 읽을 수 있다. 지난 9월 미국의 통화정책결정회의 이후 발표된 점도표에는 Fed 위원들의 통화긴축 의지가 보였다. 올해 말 기준금리 전망치는 연 5.6%로 지난 6월과 같았다. 반면에 내년 말 금리 예상치는 연 4.6%에서 연 5.1%로, 내년에 금리를 인하하더라도 인하폭은 0.5%p로 시장 전망치인 1%p 인하보다 긴축적인 신호를 보냈다. 이에 따라 미국 국채금리가 상승하는 등 경제 전반에 금리가 상승하면.. 2024. 5. 13.
하루 한장 - 시사 경제 금융 주식 용어 공부 시사 경제 금융 주식 용어 공부 경제 초보의 하루 한 장 시사 경제 금융 주식 용어 공부 한걸음 ▶ G7 정상회의(G7 Summit) : G7 정상회의는 인플레와 에너지 등 세계 경제의 여러 문제를 협의하기 위한 선진 7개국(G7) 간 정상회의다.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 이탈리아, 캐나다가 회원국이다. 설립초기 국가 간 환율 조정 등 거시경제에 역점을 뒀으나 이후 다양한 분야로 협의의 폭을 확장해 왔다. 지난 5월 일본 히로시마에서 열린 G7 정상회의에서 우크라이나 지원,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주요 광물의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 북한의 무력도발 규탄, 기후변화, 식량·에너지 위기 같은 공동의 도전과제를 극복하기 위한 협력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한국도 G7 정상회의에 초청받았다. ▶ .. 2023. 6. 25.
하루 한장 - 시사 경제 금융 주식 용어 공부 시사 경제 금융 주식 용어 공부 경제 초보의 하루 한 장 시사 경제 금융 주식 용어 공부 한걸음 ▶ 스테이블 코인(stable coin) : 가격 변동성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된 암호화폐다. 미국 달러화나 유로화 등 법정화폐와 1대 1로 가치가 고정돼 있는데, 보통 1 코인이 1달러의 가치를 갖도록 설계된다. ▶ 엔데믹(Endemic) : 종식되지 않고 주기적으로 발생하거나 풍토병으로 굳어진 감염병을 말한다. 백신이나 치료약 등이 나타나 질병에 대한 다양한 대책이 마련되면 예측이 가능하고 발병 지역이 좁은 엔데믹이 된다. ▶ 모빌리티(mobility) : 전통적인 교통수단과 정보통신기술을 결합해 사람들의 이동을 편리하게 만드는 각종 서비스를 일컫는다. 대표적으로 자율주행차, 공유 전동 킥보드, 카 셰어링 등.. 2023. 6. 11.
하루 한장 - 시사 경제 금융 주식 용어 공부 시사 경제 금융 주식 용어 공부 경제 초보의 하루 한 장 시사 경제 금융 주식 용어 공부 한걸음 ▶ 인앱 결제(In-app Purchase) : 앱에서 유료 콘텐츠를 결제할 때 구글, 애플 등의 앱마켓(장터)을 통해 결제하는 방식이다. 구글이나 애플은 자사 앱마켓에서 각국의 앱과 콘텐츠를 판매하고 결제 금액의 최대 30%까지 수수료를 받는다. ▶ 리커머스(Recommerce) : 기존에 사용하던 제품을 재거래하는 제품 판매 전략이다. 패션업계는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을 이유로 가격을 잇달아 올리자 부담을 느낀 젊은 소비자들이 저렴한 중고 의류 플랫폼에 주목하면서 이와 관련한 시장 규모도 점차 커지는 추세다. ▶ 퍼스트 펭귄(First Penguin) : 바다에 뛰어드는 첫 번째 펭귄을 가리킨다. 이는 위험.. 2023. 6. 10.
하루 한장 - 시사 경제 금융 주식 용어 공부 경제 초보의 하루 한 장 시사 경제 금융 주식 용어 공부 한걸음 ▶ 국민부담률(Total tax revenue as percentage of GDP) : 국민이 낸 세금(국세+지방세)과 국민연금, 산재보험, 건강보험 등 사회 보장성 기금을 합한 금액이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조세부담률과 사회보장부담률을 합한 것이다. ▶ 클러스터(Cluster) : 특정 지역에 상호 연관 관계가 높은 다수 기업과 기관이 모여 있는 산업 단지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연구 개발 기능을 담당하는 대학과 연구소, 생산 기능을 담당하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각종 지원 기능을 담당하는 금융기관과 컨설팅같이 수평적·수직적인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경쟁하고 협력하는 등 특정 산업 분야가 집적된 일정한 지역이다. 클.. 2023. 6. 5.
하루 한장 - 시사 경제 금융 주식 용어 공부 경제 초보의 하루 한 장 시사 경제 금융 주식 용어 공부 한걸음 ▶ 담보인정비율(LTV : Loan To Value ratio)과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 Debt Service Ratio) : 담보인정비율이란 주택을 담보로 돈을 빌릴 때 인정되는 자산가치의 비율이다. 집값의 몇% 까지 대출받을 수 있는지 한도를 정해준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이란 대출자(차입자)의 총 금융부채 원리금 상환액을 연소득으로 나눈 비율이다. 가계가 연소득 중 주택담보대출과 기타 대출(신용대출 등)의 원금과 이자를 갚는데 얼마 쓰는지 보여준다. ▶애슬레저(Athleisure) : 운동을 뜻하는 애슬레틱(athletic)과 여가를 뜻하는 레저(leisure)의 합성어로, 운동하기에 적합하면서도 일상복으로 입기에도 편안한 옷차.. 2023. 6. 4.
하루 한장 - 시사 경제 금융 주식 용어 공부 시사 경제 금융 주식 용어 공부 경제 초보의 하루 한 장 시사 경제 금융 주식 용어 공부 한걸음 ▶ 포워드 가이던스(Forward Guidance) : 중앙은행이 경제 상황을 평가해 선제적인 통화정책 방향을 제시할 때 사용하는 용어다. 보통 정책금리 또는 기준금리의 향방 등 통화정책 방향을 예고하기 위한 중앙은행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이다. ▶ 국민부담률(Total tax revenue as percentage of GDP) : 국민이 낸 세금과 국민연금, 산재보험, 건강보험 등 사회 보장성 기금을 합한 금액이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율이다. ▶ 특별인출권(SDR : Special Drawing Right) : 국제통화기금(IMF) 회원국이 외환위기를 당했을 때, IMF에서 끌어다 쓸 수 있는 긴.. 2023. 5. 1.
728x90
반응형